범죄피해자 1,006가구에 15억 원 지원…경제적 지원으로 일상 회복

마성배 기자 / 2025-01-21 15:04:21
긴급 생계비·의료비 지원, 정부·민간 협업으로 신속 추진
"경제적 지원 없었다면 가정폭력의 그늘 벗어날 수 없었을 것"
신한금융희망재단, 경찰청 등과 협력해 피해자 일상 회복 기여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경찰청과 행정안전부, 신한금융희망재단이 함께 추진한 범죄피해자 지원사업이 지난 한 해 동안 1,006가구에 총 15억 600만 원을 지원하며 피해자들의 일상 회복에 크게 기여했다. 이 사업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복귀가 더딘 피해자들에게 생계비와 의료비를 신속히 지원해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4월, 세 기관은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경제적 어려움으로 일상 회복이 더딘 범죄피해자들을 돕기 위해 본격적인 협력을 시작했다. 지원 방식은 ▲단순 지원(최대 100만 원)과 ▲집중 사례 지원(최대 300만 원)으로 나뉘었으며, 지난해에만 총 1,006명에게 지원금이 전달됐다.
 



특히 정부 지원금 절차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신한금융희망재단이 민간 차원의 긴급 지원금을 신속히 제공하면서 피해자들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사업은 실질적인 도움을 통해 피해자들의 삶을 바꾸는 사례를 만들어 냈다. 한 피해자는 남편의 폭행을 피해 보호시설에서 생활하던 중 300만 원의 긴급 생계비를 지원받았다. 그는 “보호시설에서 퇴소 후 살 곳조차 막막한 상황에서 지원금 덕분에 정신과 치료를 받을 수 있었고, 미래를 준비할 힘을 얻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사례로는 충북에서 발생한 교제 살인 사건의 피해자 유가족이 있다. 그는 "갑작스러운 가족의 죽음과 장례 준비로 경제적 어려움이 극심했지만 지원금을 받아 일상 복귀의 희망을 품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지난 1월 15일, 신한금융그룹은 ‘2025 신한금융그룹 아름다운 동행 실천 Day’ 행사에서 경찰청과 행정안전부와의 협력 사례를 공유하고 우수 사례를 시상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피해자 발굴과 지원에 힘쓴 경찰관과 사회복지사 10명이 표창을 받았다.

경찰청 관계자는 “피해자 중심의 업무 체계를 더욱 강화하고, 경제적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인 범죄피해자들을 위해 민관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마성배 기자

마성배 기자

교육전문미디어, 교육뉴스, 공무원시험, 로스쿨, 자격시험, 대학입시, 유아·초중등교육, 취업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