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2026학년도 공립유치원 신규교사 선발 인원이 전국 668명으로 확정됐다. 이는 전년도(386명)보다 282명(73.1%) 늘어난 규모로, 저출생 심화와 조기 사교육 문제 속에서 국가책임 유아교육을 강화하려는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교육부는 2025년 9월 10일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공고한 ‘2026학년도 신규교사 임용시험 선발 인원’을 공개했다. 이번 유치원 교사 증원은 ▲퇴직 교원 증가 ▲시·도교육청 유아교육 전문직 전직 확대 ▲유아교육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확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다만 부산과 울산은 2026학년도 유치원 교사를 선발하지 않는다.
전국국공립유치원교사노동조합(위원장 윤지혜, 이하 유치원교사노조)은 “이번 증원은 환영할 일”이라면서도 “유치원 교원 정원의 지속적 확충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유치원이 초·중·고와 달리 전담교사가 없어 모든 교사가 담임을 맡고 있어 수업시수와 행정업무 부담이 과중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담임교사가 병가를 쓰면 대체 인력이 부족해 수업 결손과 안전사고 대응 공백이 발생하는 현실을 꼬집으며 “유치원에도 전담교사 제도가 시급히 도입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일부 시·도교육청에서는 정규 교육과정이 아닌 방과후 과정에 정교사를 배치하고 있다. 유치원교사노조는 이로 인해 교육과 돌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교사들이 정규 수업 연구와 실행에 집중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실시된 현장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75%가 방과후 과정 정교사 배치에 반대했다. 노조는 “방과후 교사를 교육과정 전담교사로 전환해 정규 교육과정의 전문성을 높이고, 담임교사의 수업 및 행정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노조는 이번 교사 증원 발표를 계기로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이 ▲국공립유치원 교원·전문직 정원 확충 ▲노후화된 유치원 시설 개선 ▲교권 보호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 강화 ▲유아교육과 보육의 명확한 역할 구분 등 근본적 개혁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유아교육의 질 향상은 교사의 헌신에만 기대어서는 안 된다”며, 공공성과 전문성을 확보하는 ‘유보전문화’ 정책을 본격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