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인공지능(AI) 전환 시대에 공직 인재개발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전문가들이 한국에 모인다.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원장 임채원)은 31일 국가인재원 과천 분원에서 공공 인재개발 분야 공무원과 학계, 민간 전문가 등 150여 명이 참석하는 ‘2025 국제(글로벌) 공공 인사관리(HR) 학술대회(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 학술대회 주제는 ‘인공지능 전환 시대 공직 인재개발 혁신’이다. 급변하는 행정환경 속에서 공무원의 역할과 인재상, 그리고 교육체계 전환 방향을 논의하는 장이 될 전망이다.
기조연사로는 싱가포르 공무원연수원(CSC) 패트릭 라우 부원장이 나선다. 라우 부원장은 “AI가 공직사회의 업무와 역할을 재편하고 있다”며 “미래 환경에 부합하는 공공성 강화와 판단 역량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할 예정이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유럽대학연구소(EUI) 나탈리아 메넨데스 곤살레스 연구위원이 기술 발전 속 공공 윤리 및 책임성 유지 방안을, 김명주 인공지능안전연구소장이 공직자의 디지털 책임과 AI 윤리 활용을 발표한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캐나다 공무원연수원(CSPS) 나탈리 라비아데스 조두앵 부원장이 캐나다 공공부문의 AI 혁신 전략을 소개하고, 김상균 경희대 교수가 데이터 기반 학습과 창의적 문제 해결 역량 강화 필요성을 제기한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정부·민간 협업 사례가 공유된다. 벨기에 연방공공서비스부 장-마르크 에버라드 팀장이 학습혁신 AI 사례를, 연주환 코딧 부사장이 법·규제 분석 자동화 기반 의사결정 고도화를 발표한다.
국가인재원 윤우제 교수는 생성형 AI 활용의 장단점과 의존성 위험을 짚는다.
국가인재원은 행사 기간 중 이집트 국가인력개발원(NTA)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싱가포르·영국·불가리아 등 주요 연수기관과 양자 면담을 진행해 공공 인재개발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임채원 국가인재원장은 “디지털 혁신에 대응해 공직자 교육 체계를 새롭게 정립하고 있다”며 “사람 중심 AI·인문·예술을 아우르는 공직 인재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