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마약범죄 대응 역량 강화…신종 수사 기법 공유
마약 공급 차단과 치료·재활 병행…중장기 전략 추진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검찰이 빠르게 진화하는 마약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전국 마약전담 검사들을 한자리에 모았다.
대검찰청(마약·조직범죄부)은 4일 전국 18개 지검과 16개 지청에서 활동하는 마약전담 검사 37명을 포함한 총 42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전국 마약전담 검사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SNS·다크웹·가상자산을 이용한 신종 마약 유통, 밀수범죄 증가, 의료용 마약류 오남용 문제 등 주요 현안을 집중 논의했다.
검찰에 따르면, 2024년 단속된 마약사범은 23,022명으로 2년 연속 2만 명을 넘었으며, 30대 이하 젊은 층이 전체 마약사범의 63.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와 다크웹을 통한 익명 거래와 가상자산을 활용한 자금 세탁 방식이 일반화되면서 마약 범죄가 더욱 조직화되고 있다.
특히 외국인 마약사범도 증가세를 이어가면서 2024년 3,232명이 단속돼 전년 대비 2.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마약이 단순 밀반입에서 그치지 않고 국내 제조·유통까지 확산하면서 보다 정교한 대응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검찰은 마약 공급망을 철저히 단속하는 한편, 청소년 및 초범 투약자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치료·재활을 지원해 마약 수요를 줄이는 전략을 병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위원회’를 중심으로 중독자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보호관찰소의 약물 감시 시스템을 결합한 통합 관리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온라인 마약 거래를 추적하는 ‘AI 다크웹 모니터링 시스템’을 2025년 도입하고, 서울중앙지검과 수원지검을 중심으로 인터넷 마약류 유통범죄 집중단속팀을 운영할 계획이다.
검찰은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전국 지역별 ‘마약수사 실무협의체’를 활성화하고, 국내·외 마약 유통망을 차단하는 동시에 마약 중독자 치료·재활 기회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