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서울시교육청이 교사의 권리 보호와 심리적 회복을 위한 공론의 장을 열었다. 서울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은 16일 서울교육대학교 에듀웰센터 컨벤션홀에서 「2025 교육활동 보호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악성민원 대응과 교원의 마음건강 회복’을 주제로, 실제 교육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악성민원과 부당한 요구로 인한 교사들의 심리적 소진 문제를 심도 깊게 논의하고 실질적인 정책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유·초·중·고 교원, 예비교사, 교육청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으며, 교육활동보호·정신건강·법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현직 교사들이 발표자와 토론자로 나섰다.
박남기 광주교육대 명예교수는 ‘악성민원, 어디까지가 민원인가?’를 주제로 발표하며, 학교·교육청·국가 차원에서 체계적인 대응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소희 국립중앙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사는 ‘교사의 심리적 외상과 회복 지원 방안’을 통해 교사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의 실제 사례를 소개하고, 치료적 접근과 제도적 보완책을 함께 제안했다.
이인재 서울교육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은 종합토론에서는 서울교사노동조합, 서울교총, 전교조 서울지부, 서울시교육청 관계자, 법률 전문가 등이 참여해 다양한 현장 목소리와 제도 개선 방향을 공유했다. 이들은 교원 보호를 위한 법적 대응 체계 강화와 동시에, 교사들의 정서적 회복을 위한 지원체계 확대의 필요성에 뜻을 모았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번 포럼을 통해 ▲악성민원 예방을 위한 제도 개선 ▲심리소진 교원 대상 회복 프로그램 확대 ▲현장 중심 교육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이번 포럼은 교사들이 교육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서울시교육청은 앞으로도 교육활동 보호와 교사의 마음건강 회복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교육활동 보호 포럼을 정례화하고, 교권 보호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 수립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