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구초상화> 포스터 |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조명박물관이 기후위기와 생태 파괴에 대한 감각적 성찰을 담은 복합문화 프로그램 <지구초상화>를 오는 8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전시를 넘어 교육, 체험, 퍼포먼스, 축제를 유기적으로 연결한 융합형 생태문화 프로젝트다.
‘예술을 통해 지구를 다시 보다’는 의도로 기획된 <지구초상화>는 관람객들이 단순한 전시 감상을 넘어 지구 생태계에 대한 실천적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됐다. 프로그램은 지구 환경의 위기를 예술 언어로 그려내며, 삶과 자연, 인간과 생태의 관계를 새롭게 사유하는 시간을 제공한다.
주 전시 <지구초상화 – 지구의 오늘을 그리다>에는 국내외 현대미술 작가 8인(니키 노주미, 마크 디온, 셰자드 다우드, 알리 체리, 김유정, 김윤철, 이혜선, 장용선)이 참여해 기후변화, 생태 파괴, 인류세 문제 등을 다층적으로 풀어낸 작품들을 선보인다.
연계 전시 <밤의 초상 – 우리가 기록한 빛공해>는 조명박물관이 2005년부터 지속해온 <빛공해 공모전>과 <빛공해 백일장>의 시민 참여 기록을 바탕으로 구성되며, 우리가 잃어버린 ‘어둠’의 의미와 감각을 되돌아보는 자리가 된다.
8월 한 달간 주말에는 ‘지구별 예술가’ 체험 프로그램과 기후변화 지표식물 키트 <개구리발톱> 만들기 체험이 운영되며, 환경 축제 <달잔치>에서는 시민들이 달빛 아래 자연과 예술을 노래하며 생태와 공존의 가치를 함께 나눈다.
현장 강의 <지구와 썸 타는 사이–나와 멀고도 가까운 기후 환경 이야기>와 온라인 강의 <알쏭달쏭 빛+공해 – 별이 사라지는 밤이야기>를 통해 기후 문제와 빛공해에 대한 교육적 접근을 시도한다.
조명박물관 구안나 관장은 “<지구초상화>는 예술과 환경이 만나는 지점에서 지속 가능한 삶을 고민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이 지구 생태에 대한 감각적 인식과 실천적 태도를 함께 갖게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전시 관람을 넘어 참여, 체험, 공감의 장으로 확장되며, 예술을 통해 지구의 미래를 그려보는 귀중한 문화적 성찰의 계기를 제공할 예정이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