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Z세대 트렌드 2026 표지 |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물건’보다 ‘시간’, ‘소유’보다 ‘감정’이 더 중요한 시대가 오고 있다.
국내 유일 20대 전문 연구기관인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29일 공개한 신간 『Z세대 트렌드 2026』에서 변화의 중심이 ‘감정 관리’와 ‘즉시 향유 소비’라고 진단했다.
연구소는 지난 1년간 900여 건의 국내외 트렌드 사례와 7000여 개의 소셜 빅데이터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Z세대 트렌드 핵심은 단연 ‘감정’이라고 강조했다. 저성장·인구절벽·기후위기·AI 고도화라는 격변의 시대에, 반작용으로 인간 ‘감정’의 가치가 부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2026년 첫 번째 키워드: 메타센싱(Meta-Sensing)
연구소가 선정한 첫 번째 핵심 키워드 ‘메타센싱(Meta-Sensing)’은 자신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인지하고 관리하는 태도를 뜻한다. 기존의 ‘메타인지’가 사고 중심이었다면, 감정까지 포함해 확장된 개념이다.
눈에 띄는 변화는 AI의 사용 목적이다. 학습·업무 보조 도구였던 AI가 심리적 감정 환기의 창구로 진화했다.
“사람에게 털어놓기엔 부담될 때, 챗GPT에 적어두면 감정이 정리돼요. 조언도 들을 수 있고 바로 피드백이 오니까 더 편해요.”– 29세 남성 김OO
실제 조사에서 성형 AI를 자주 쓰는 20대 4명 중 1명(24.5%)이 AI에 심리 상담을 받아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Z세대는 산책·수면 관리·뜨개질 등 루틴을 통해 감정을 관리하는 데 능동적이며, 특히 ‘코르티솔(스트레스 호르몬)’ 관리 열풍도 뚜렷하다. 2025년 상반기 코르티솔 언급량(13만1676건)은 2024년 한 해 언급량(9만2540건)의 1.5배를 기록했다. 관련 연관어 중 ‘루틴’(1300%↑), ‘삶의 질’(1900%↑) 언급은 폭증했다.
![]() |
| ▲소셜 빅데이터로 본 코르티솔 관련 언급량 추이 |
또한, 온라인에서는 익명으로 위로와 다정한 말을 주고받는 댓글 문화가 늘고 있으며, 오프라인에서는 타인에게 작은 친절을 건네는 ‘스몰토크 콘텐츠’가 확산 중이다. 연구소는 “메타센싱은 개인 감정 관리에서 더 나아가 타인의 감정을 감지하고 관계와 사회의 다정함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확장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두 번째 키워드: 적시소비(Just-in-Time Consumption)
2020년대 대표 소비 키워드였던 팝업스토어 열풍을 넘어, Z세대는 최근 ‘박람회’를 새로운 핫플레이스로 소비 중이다. 여러 브랜드 경험을 한 공간에서 압축적으로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시간 대비 경험 밀도’, 즉 시(時)경비를 따지는 트렌드가 반영된 것이다.
“팝업은 금방 다 보는데, 박람회는 소규모 팝업이 모여 있어서 두세 시간은 폭풍 체험 가능해요.”– 22세 여성 강OO
Z세대는 지금 이 순간만 느낄 수 있는 감각과 분위기를 놓칠까 두려워하는 ‘FOMO NOW (Fear of Missing Out Now)’ 심리를 보이며, 이는 ‘적시소비’로 이어진다. 즉, 유행보다 ‘지금 이 순간의 감각’을 소비하는 것이다.
그 대표 사례가 ‘제철 소비’의 확장이다. 제철 언급량은 2022년 대비 1.6배 증가, 식재료 뿐 아니라 굿즈·드라마·패션·페스티벌 등 전방위 라이프스타일로 영역이 확장됐다. 브랜드들도 계절의 감성을 느낄 수 있는 제철 굿즈·마케팅을 강화하는 추세다.
![]() |
| ▲소셜 빅데이터로 본 제철 관련 언급량 추이 |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Z세대는 가격·소유보다 시간을 얼마나 가치 있고 밀도 있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집중한다”며, 2026년에는 감정관리 루틴과 ‘지금 여기’의 경험을 중시하는 소비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공간 마케팅 업계는 “몰입감과 순간성”이 결합된 ‘적시적 경험’(Just-in-Time Experience)을 제공하는 전략이 경쟁력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