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지정업체 선정 희망 기업...오는 6월 30일까지 신청서 제출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병무청이 병역의무를 이행하면서도 산업현장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산업지원제도’의 2026년도 운영 방향을 확정했다. 청년들에게는 실무 경험의 기회를, 기업에는 기술 인재 확보를 돕는 이번 제도는 특히 반도체, 이차전지 등 첨단 전략산업 분야의 인력 양성에 집중될 전망이다.
30일 병무청은 '2026년도 병역지정업체 선정 및 인원배정 기준'을 고시하고, 총 6,300명의 병역지정 인원을 전문연구요원, 산업기능요원, 승선근무예비역으로 배정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200명 줄어든 규모지만, 국가첨단전략산업과 방위산업에 대한 지원은 더욱 확대된다.
![]() |
▲병무청 제공 |
이번 제도의 핵심은 전략 분야 인재 우대에 있다. 병무청은 기존의 소재·부품·장비 전문기업, 저탄소 인증기업 외에도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바이오 등 국가첨단전략산업법에 따른 기업에 가점을 부여하기로 했다. 이들 기업은 추천기관의 우수 평가를 받을 경우 병역지정업체로 선정돼 병역 인력을 배정받는다.
전문연구요원 분야에는 총 2,300명이 배정되며, 이 중 1,100명은 박사과정 인력으로 운영된다. 특히 박사과정 전문연구요원 중 100명은 반도체 분야에 집중 배치된다. 중견·중소기업 부설 연구기관에는 지난해와 동일하게 1,200명이 배정된다.
산업기능요원은 총 3,200명을 배정받는다. 이 가운데 기간산업 및 방위산업에 2,930명을, 농어업 분야에 270명을 배정할 계획이다. 특히 첨단전략산업 관련 기업에 대해서는 전년 대비 200명이 늘어난 500명을 배정해 이 분야의 인력 수요에 적극 대응한다. 방위산업 병역지정업체의 경우 업체당 최대 6명까지 배정받을 수 있도록 상향 조정했다.
승선근무예비역은 800명이 배정된다. 선박 근로환경이 우수하거나 권익 보호 실적이 뛰어난 업체가 우선순위에 놓이며, 복무 관리가 부실한 업체나 통신시설이 없는 원양선박의 경우 배정이 제한된다.
병역지정업체로 선정되길 희망하는 기업은 오는 6월 30일까지 해당 분야의 추천기관인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 등으로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김종철 병무청장은 “첨단산업 현장에 청년들이 자신의 전공을 살려 복무하면서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복무 기간에도 안전한 근로환경과 정당한 처우가 이뤄지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