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강제노역이 있었던 사도광산 '도유갱' 내부>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의 현장이었던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인근에서 24일 열린 추도식이 강제성을 외면한 채 마무리되면서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행사에서 일본 정부 관계자가 조선인의 고통을 일부 인정했으나, 강제성을 언급하지 않아 반쪽짜리 행사에 그쳤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사도광산 인근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에서 열린 이번 추도식은 당초 한국 정부와 유가족이 참석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추도사를 맡은 이쿠이나 아키코 일본 정무관(차관급)의 과거 야스쿠니 신사 참배 이력이 불거지면서, 전날 한국 측이 불참을 결정했다.
결국 일본 측 인사들만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행사는 조선인 강제노역의 진실을 제대로 조명하지 못한 채 끝났다.
<사도광산 인근 아이카와 향토박물관의 조선인 관련 전시 판넬>
이쿠이나 정무관은 추도사에서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고향을 떠나 가혹한 환경에서 노동에 종사했다”며 조선인의 고통을 일부 인정했지만, 강제노역이라는 본질적 문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사도광산 추도사에서도 강제성을 외면했다는 점에서 일본 정부의 역사 왜곡 태도가 여전하다”고 비판했다.
최근 사도광산을 직접 답사한 서 교수는 아이카와 향토박물관 전시 내용에 대해 강하게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박물관에는 조선인의 가혹한 노동이 기록돼 있지만, 강제성을 인정하는 표현은 전혀 없었다”며, “오히려 ‘조선인은 둔하고 기능적 재능이 낮다’, ‘불결한 악습이 있다’는 비하적 문구가 전시돼 있었다”고 전했다.
서 교수는 이를 두고 “군함도 등재 당시 일본이 정보센터 설치를 약속하고도 강제성을 부인하는 자료를 전시한 사례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역사 왜곡을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이번 답사 자료를 바탕으로 사도광산의 왜곡된 역사를 유네스코에 공식 고발할 예정이다. 그는 “일본 정부가 국제사회에 약속한 역사적 진실을 외면한 채 신뢰를 훼손하고 있다”며, “사도광산의 전체 역사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도광산 추도식은 일본 정부가 조선인 강제노역의 역사를 제대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다시금 드러낸 사례로,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압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서 교수는 “사도광산은 조선인의 아픔이 깃든 역사적 현장”이라며 “일본 정부가 과거를 바로잡지 않고서는 신뢰를 회복할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