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교도관 폭행 70건, “정신과 환자보다 트라우마 심해”

김민주

gosiweek@gmail.com | 2016-11-01 14:19:00

 
지난해 폭언‧협박 피해 1만7천 건 발생...교도관 정신건강 회복 사업 내실 갖춰야

 

교도소에서 수용자가 교도관을 폭행하는 사건이 해마다 70건씩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로 인한 교도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정도가 정신과 환자보다 높아, 교도관 정신건강 회복을 위한 사업의 활성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서울 은평갑) 의원이 22일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06년~’15년) 동안 발생한 교도관 폭행 사건은 연평균 68건에 달했으며 특히, 지난해 폭언‧협박 피해 등의 사건은 1만7102건이 발생했다. 교도관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원인인, 수용자들의 자살‧병사 사건도 연평균 106건에 이르렀다.

 

이에 법무부는 교도관의 치료를 통한 정신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교도관 정신건강 회복 사업’을 시행하는데, 이로 인해 교도관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업무 집중도를 향상시켜 수용자에 대한 통제도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법무부가 제출한 2017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교도관 트라우마 극복 프로그램은 43명, 자살‧병사사건 처리 교도관 트라우마 극복 프로그램은 70명, 심리치료 프로그램은 183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교도관의 정신적 피해를 치료하기에는 매우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지난 2005년 이수정 교수(경기대 범죄심리학과)가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도관 240명을 대상으로 측정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측정 결과가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한 정신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측정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박주민 의원은 “교도관이 겪는 트라우마 정도가 정신과 환자보다 높은 수준임에도 현재까지 그들을 위한 정신 건강 회복 서비스는 이뤄지지 않았다”며 “내년도 편성된 예산안으로는 이를 해결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법무부는 교도관의 업무 불안감을 없애고 이직률을 낮추기 위해, 교도관 정신건강 회복 사업에 대한 사업 계획을 철저히 세우고 시행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