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전문가 수혈...‘공채’ 먹구름?
이선용
gosiweek@gmail.com | 2014-12-09 16:45:07
서울시가 공무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외부 전문가 영입을 적극 추진할 뜻을 내비친 가운데 공채 채용규모가 축소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약 1만명의 시 전체 공무원 중 17%(1,644명) 수준인 전문가 공무원을 2020년까지 54%(5,370명)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지난 2일 발표했다.
전문가 공무원 확보는 외국인, 변호사, 전문임기제, 전문경력관 등 외부 전문 인력 영입을 늘리고, 행정직·기술직 등 내부 공무원을 전문가로 키우는 투트랙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즉 2020년까지 공무원의 절반을 전문가로 채우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본지 취재 결과 서울시가 발표한 ‘전문가 공무원 충원’에 따른 후폭풍이 공채 선발인원 축소로까지는 이어지지 않을 전망이다.
서울시 인력개발과의 한 관계자는 “전문가를 모두 외부에서 영입하는 것은 아니며, 신규공무원을 내부에서 전문가로 육성하는 것이 이번 인사혁신의 핵심”이라며 “신규채용자는 분야별 보직관리제를 의무 적용하여 해당 분야의전문가로 육성할 것”이라고 전하였다.
이어 “서울시의 경우 2020년까지 베이비부머 세대 공무원의 본격 퇴직으로 약 3천 명, 자치구까지 포함하면 약 1만 명의 결원이 발생하기 때문에 공채 채용인원은 오히려 늘어날 수 도 있다”고 귀띔하기도 했다.
이 같이 서울시의 경우 베이비부머 세대의 퇴직으로 인하여 오는 그 자리를 외부전문가와 신규채용자가 메꾸게 될 것으로 보인다.
내부공무원 전문가 육성을 위해 서울시는 ▲신규공무원 ‘분야별 보직관리제’ 의무 적용 ▲전문가 확대 양성 ▲‘희망전보 이력관리제’ ▲‘순환전보제’ 혁신 통한 전보제한 기준 차등 적용 등 장기근무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 서울시는 채용관리 전문화를 위해 우수인재 발굴을 위한 충원계획 수립부터 모든 시험관리를 전담할 ‘시험관리센터’를 2016년 이후 설립할 계획이다.
또 공직 개방 강화와 함께 장애인·저소득층·고졸자 등 사회적 약자 채용도 강화할 방침이다. 장애인은 법정의무 채용비율(3%)보다 높은 정원대비 10%를 채용목표제로 세우고 이를 달성할 때까지 매년 신규채용의 10%를, 저소득층도 법정의무 채용비율(1%)을 상위하는 매년 공채인원의 10%를 지속채용하게 된다.
한편, 서울시는 2015년도 서울시 지방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의 편의를 위해 시험일정을 사전에 공지하였다. 내년도 시험일정은 본지(10월 28일자 1면) 예고대로 6월 13일로 확정되었다. 세부일정은 원서접수를 3월중에 진행한 후 필기시험 6월 13일, 인적성검사 9월, 면접시험 10~11월, 최종합격자 발표 12월 등이다.
이선용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