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수도 서울, 그 곳에서 살아가는 공무원들
고은지
gosiweek@gmail.com | 2014-06-24 14:55:50
서울시공무원, 男 60.8% 차지
2014년 4월 말 기준으로 서울시 공무원은 전체 40,352명(소방직 제외)으로 집계됐다. 이중 행정직군 공무원은 23,138명으로 확인됐다. 직급별로는 7급이 8,760명(37.9%)으로 가장 많았고, 9급이 2,333명으로 전체 10.1%를 차지하였다. 또 행정직군을 기준으로 9급~7급까지는 여성 공무원의 비중이 남성 공무원 보다 높았다. 9급의 경우 ▲男 750명, 女1,583명이었고, 7급은 ▲男 4,097명, 女 4,663명으로 조사됐다. 반면 6급 이상에서는 남성 공무원의 수가 많았다. 5급 男은 1,336명인 것에 비하여 女는 235명에 불과하였다. 행정직군 공무원 전체 23,138명 중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53.3%(12,339명)이며 여자는 46.7%(10,799명)으로 집계되었다. 또한 기술직군 공무원의 경우, 전체 11,379명(男 76.3%, 女23.7%)이 재직하고 있었으며, 그중 ▲9급 - 男 379명, 女 238명 ▲7급 - 男 4,021명, 女 1,121명 ▲5급 - 男 485명, 女 68명 등 남성의 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위 통계를 모두 종합한 결과 서울시 공무원(행정·기술직)의 경우 전체 34,428명 중 남성은 20,954명, 여성은 13,454명이었다.서울시 9급 월급, 1,357,200원+α
서울시 공무원의 보수는 매월 20일 지급된다. 월급여는 9급 3호봉 기준 1,357,200원이 지급되며 7급 3호봉 기준 1,693,500원으로 책정되어있다. 이 외에도 매월 1일에는 복리후생비인 정액급식비(7·9급 130,000원)와 직급보조비(7급 140,000원, 9급 105,000원), 대민활동비(7·9급 50,000원) 등이 지급되며, 매월 10일에는 시간외근무수당이 지급된다. 시간외근무수당은 9급의 경우 시간 당 7,247원, 7급은 8,930원이다. 시간외근무수당은 1일 최대 4시간까지 인정되며 10시간 기본시간이 인정된다. 또한 3월 연말정산환급금, 성과상여금과 설과 추석에 월 봉급의 60%에 해당하는 명절휴가비, 7월과 12월 연가보상비, 1월과 7월에는 월봉급의 0~50%에 해당하는 정근수당이 지급된다. 이처럼 모든 상여금은 총 30종으로 가족수당, 자녀학비수당, 육아휴직수당, 특수지근무수당, 특수근무수당, 초과근무수당 등이 있다.서울시 행정직, 9급→7급까지 평균 ‘7.6년’
서울시 공무원의 일반직평균 승진에 소요되는 연수는 9급에서 8급으로 진급하는데 행정직군의 경우 평균 3.2년이, 기술직은 4.0년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자치구 행정직 공무원은 3.3년으로 서울시 전체공무원보다 약 0.1년이 더디게 승진하게 된다. 이어 8급에서 7급까지 소요되는 연수는 ▲서울시 행정직 4.4년 ▲서울시 기술직 5.8년 ▲자치구 행정직 4.5년이다. 또 7급에서 6급으로는 ▲서울시 행정직 7.8년 ▲서울시 기술직 11.3년 ▲자치구 행정직 10.0년이 걸리고, 6급에서 5급으로는 ▲서울시 행정직 9.3년 ▲서울시 기술직 12.1년 ▲자치구 행정직 9.8년으로 5급까지의 승진은 서울시 행정직 공무원, 자치구 행정직 공무원, 서울시 기술직공무원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급에서 4급으로 승진하는 경우는 ▲서울시 행정직 12.0년 ▲서울시 기술직 10.5년 ▲자치구 행정직 9.2년으로 서울시 행정직이 가장 더디게 진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고은지 기자 gosiweek@gmail.com[ⓒ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