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전체 평균 월급 ‘447만원’, 현실은 ‘상후하박?’
이선용
gosiweek@gmail.com | 2014-05-13 16:05:27
공무원을 직업으로 삼는 가장 첫 번째 이유 중 하나는 신분적인 안정성 때문이라는 말을 많이 한다.
실제로 이는 본지가 국가공무원 9급 공채 시험이 끝난 직후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확인되었다. ‘귀하가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라는 설문에 응답자의 54%가 ‘안정적인 신분보장’이라고 답했다. 이어 ‘연금 및 노후보장’ 14%, ‘뚜렷한 적성을 찾지 못해서’ 7%,‘부모님 등 주변의 권유로’ 7%, ‘국가에 봉사하고 싶어서’ 6% 등이었다.
하지만 대한민국 공무원은 안정적인 신분보장 못지않게 금전적인 대우도 나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니 오히려 일반 사기업 평균보다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안전행정부가 지난 8일 관보에 고시한 올해 공무원 전체 기준소득월액 평균액은 447만원이었다. 여기서 ‘기준소득월액’이란 공무원연금의 보험료와 수령액을 계산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금액을 말한다.
더욱이 공무원의 평균 기준소득월액은 매년 늘어나고 있었다. 지난 2011년 395만원이었던 금액이 2012년에는 415만원으로 5.6% 오른데 이어 2013년에는 4.81% 상승한 435만원으로 확인됐고, 올해는 2.75% 높아진 447만원으로 책정되었다.
이에 안전행정부는 “최근 정년 연장 등으로 근속연수가 늘면서 평균 기준소득월액이 높아졌다”고 설명하였다.
다만 공무원들의 평균 기준소득월액 447만원은 최하급부터 고위공무원 전체의 과세 전 총소득을 평균 낸 금액이어서 상당수 일반 공무원의 체감 소득과는 괴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기준소득월액 분포를 보면 ‘500만 원 이상’이 26.8%로 가장 많았고, 이어 ‘400만 원 이상 500만원 미만’ 26.2%, ‘300만 원 이상 400만원 미만’ 24.6%, ‘200만 원 이상 300만원 미만’ 17.9%, ‘100만 원 이상 200만원 미만’ 3.4% 등이었다.
한편, 올해 기준소득월액 평균액이 발표되자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과 일반 누리꾼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은 “9급을 기준으로 했을 때 이번에 공개된 기준소득월액 평균액은 조금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장관, 차관 등 고위 공무원들의 월급이 많아 이를 평균적 금액이 올라간 것 뿐”이라고 전하였다.
또 다른 수험생은 “이번 통계자료는 그야말로 공무원 전체 평균을 의미한다”며 “상후하박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구조의 단면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말하였다.
반면, 일반 누리꾼들은 “공무원 월급 많이 받네”, “공무원시험 준비나 해볼까?”, “공무원 월급 박봉이란 말은 옛 말이구나” 등의 의견을 보였다.
이선용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