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인재채용목표제, 7급 ‘확대’
| 2013-11-05 16:43:10
안전행정부, 지방대학 활성화·적극적 검토
지역인재 7급 ’14년 100명, 저소득층 ’15년 2%이상
지역인재와 저소득층 등의 공직 채용 기회가 앞으로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또 장애인·시간선택제 공무원 등이 공직에 신속하게 적응하도록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는 등 공직 내 소수그룹에 대한 인사 지원이 확대된다.
안전행정부는 지난 5일 정부 3.0 기조에 따라 공직 내 소수그룹에 대한 맞춤형 인사 서비스를 제공하여 공직의 다양성과 대표성을 확대하기 위한 ‘공직 내 소수그룹 지원 종합계획’을 마련하였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계획의 가장 큰 특징은 그간 여성, 장애인, 지역인재에 한정되어 있던 균형인사의 범위를 저소득층, 북한이탈주민, 현업공무원 등까지 확대하고 대상별 특성에 따라 맞춤형으로 지원하기로 한 점이다.
공직의 다양성과 대표성을 확대하기 위하여 소수그룹 채용이 확대된다. 우선 현재 5급 공채시험에서 지방인재 비율이 당초 합격예정인원의 20%에 미달하는 경우 추가합격시키는 지방인재채용목표제의 추가합격선을 전 과목 평균합격점의 ?2점에서 ?3점으로 낮추고, 추가합격 상한인원은 당초 합격예정인원의 5%에서 10%로 확대한다.
또한 7급 공채 시험에도 지방인재채용목표제를 도입하는 방안이 검토 중에 있다. 더불어 지역인재 7, 9급의 인원도 확대할 방침이다.
지역인재 7급의 경우 ’13년에는 90명이었지만 ’14년에는 100명, ’17년에는 120명 이상 선발한다. 지역인재 9급의 경우 올해 120명을 선발에서 점차 그 인원을 확대한다.
아울러 저소득층 인재의 공직 임용을 확대하기 위하여 9급 공채시험의 저소득층 구분모집 비율을 현재 1%에서 2015년부터는 2% 이상으로 상향조정하여 선발할 예정이다.
이 밖에 공직에 신속하게 적응하고 역량을 강화하도록 하는 교육훈련도 확대된다. 장애인공무원의 원활한 조직 적응을 위해 멘토링 가이드북을 제작·배포하여 멘토링을 강화하고, 시간선택제공무원에 대한 공직 오리엔테이션도 강화한다.
일과 가정의 양립 지원을 위한 방안도 추진된다. 중앙·지자체가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공 대체인력통합뱅크’를 구축하여 육아휴직 대체인력 활용률을 제고하고 육아휴직자에 대한 인사 불이익 방지를 통해 육아휴직 제도 이용을 더욱 활성화할 계획이다.
김승호 안전행정부 인사실장은 “공직 내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는 경우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정부가 구현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사회의 다양한 그룹이 공직에서 능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도록 수요자 맞춤형으로 인사제도를 개선해 정부 운영의 핵심기조인 정부 3.0을 성공적으로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말하였다.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