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리턴패키지 수행 어떻게?” 라우드 메이커스, 환수 없는 실무 지원 사례 주목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2025-07-24 10:00:31

희망리턴패키지 2차 선정자들, ‘환수 없는’ 사업 진행 가능할까? 실행단계 고민 깊어지는 소상공인들 사이에서 ‘실무 중심 지원’ 주목

 

 

 

 

 

중소벤처기업부의 희망리턴패키지 2차 지원사업이 본격화되면서, 2차 선정자들의 실질적인 사업 실행 고민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교육과정을 이수 중인 다수의 소상공인들은 ‘지원금은 받았지만, 실제로 어떻게 써야 할지 모르겠다.” , “환수되지 않으려면 어떤 업체를 선택해야 하나” 등의 실무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희망리턴패키지는 폐업 또는 경영위기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교육·컨설팅 후 실행 지원까지 이어지는 사업으로, 선정 이후 가장 중요한 단계는 바로 ‘예산을 어떻게 쓰느냐’에 달려 있다. 간혹가다 그 사업장의 업종과 업태를 체크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그 경우에는 환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업비 증빙, 결과 보고서 작성 등 행정처리에 대한 부담이 사업 추진의 걸림돌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소상공인들은 정부지원사업 실적이 있는 민간 파트너사와 협업해 환수 부담을 줄이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실제로 1차 선정자 중 상당수는 디자인,제작,마케팅,인테리어 등 다양한 사업 항목을 집행할 수 있는 협력사 ‘라우드 메이커스’를 통해 실행을 완료했다.

라우드 메이커스는 희망리턴패키지 사업비로 집행 가능한 업종·업태를 모두 보유하고 있으며, 집행 항목별 증빙자료 제공 및 결과 보고서 정리까지 지원해 ‘환수 없는 사업 진행’사례를 만들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라우드 메이커스 관계자는 “예산 확보 후, 실제 수행업체를 선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적지 않다”며 “1차에서도 많은 분들이 막판에 연락을 주셨고, 빠듯한 일정에도 계획 수립부터 증빙자료까지 함께 정리해 드리며 마무리한 경험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현재 2차 선정자들 역시 사업을 시작해야 할 시점에 접어들었지만, 사업 특성상 공식 수행기관이 따로 지정되지 않아 실무적으로 검증된 업체를 찾는 일이 어렵다는 점에서 불안감을 호소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전문가들은 “디자인,제작,마케팅 등 다양한 항목을 각각 다른 업체에 맡기기보다는, 서류 처리 경험이 있는 곳에서 통합 진행하는 방식이 환수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현실적인 해법”이라고 조언한다.

희망리턴패키지 2차 선정자들이 단순한 결과물 납품이 아닌, 예산 집행과 행정까지 함께 고려하는 실행 파트너를 어떻게 선택하느냐에 따라 사업 성공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검증된 실무 기반 업체와의 협업’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