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10명 중 4명 “내 집 마련 계획 있다”…가장 큰 장벽은 ‘경제적 여유 부족’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2025-07-16 15:04:39

PMI, 전국 청년 1,000명 설문조사…정부 정책 신뢰도보다 정보 접근성도 과제로 지적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청년층의 절반 가까이가 내 집 마련 계획을 가지고 있지만, 그 실현에는 여전히 ‘경제적 여건’이라는 높은 벽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PMI)가 자사 온라인 패널 ‘위즈패널’을 통해 실시한 청년 주거 인식 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9세부터 34세 사이의 청년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42.6%가 “내 집 마련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고,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29.3%, “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22.8%였다. 이미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3%에 불과했다.

결혼 여부에 따라 내 집 마련 의향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기혼 응답자 중 59.4%가 집 마련 계획이 있다고 답했지만, 미혼 응답자 중에서는 39.5%만이 같은 생각을 밝혔다. 결혼이 주거에 대한 인식을 크게 바꾸는 변수로 작용하는 셈이다.

집을 살 계획이 있다고 답한 이들에게 예상 시점을 묻자, ‘3년 이내’가 31.4%로 가장 많았다. 이어 ‘5년 이상’ 25.3%, ‘5년 이내’ 22.8%, ‘1년 이내’ 12.0% 순으로 응답이 나왔고, ‘잘 모르겠다’는 의견도 8.5%를 차지했다.

한편, 내 집 마련 계획이 없는 이들에게 그 이유를 물었더니, 57.0%가 ‘경제적 여유 부족’을 꼽았다. 이어 ‘집값 상승’(17.1%), ‘대출 상환 부담’(8.4%) 등도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외에도 ‘현재 주거 만족’(6.1%), ‘결혼·자녀 교육 등 다른 우선순위’(5.7%), ‘내 집 마련의 필요성을 못 느낀다’(5.7%)는 응답도 있었다.

청년들이 생각하는 가장 현실적인 내 집 마련 방식은 ‘주택청약’(29.9%)이었다. 다음으로 ‘금융 상품 활용’(25.8%), ‘청년 대상 주거 정책’(18.7%), ‘장기 저축·투자’(13.4%), ‘가족 지원’(11.6%) 순이었다. 주거 사다리를 오르기 위한 현실적 수단으로 청약 제도가 여전히 주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는 셈이다.

경제적 부담에 대한 체감 수준을 묻는 항목에서는 응답자의 76.6%가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고, 이 중 43.8%는 ‘매우 부담된다’고 응답해 주거비가 청년층 삶의 질을 크게 제한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정부의 청년 주거 정책 중 가장 필요하다고 느끼는 정책으로는 ‘공공임대 및 분양 주택 공급 확대’가 21.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저소득·무주택 청년 대상 맞춤형 지원’(20.7%)과 ‘전세·주택 구매 금융 지원’(20.6%)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주거 정책 정보의 주요 획득 경로는 ‘포털 검색’(42.8%)과 ‘온라인 뉴스’(41.7%)가 가장 많았고, 유튜브(33.8%), SNS(30.8%), 정부·지자체 공식 웹사이트(28.2%) 등이 뒤를 이었다. 정책 내용의 실효성뿐 아니라, 접근성과 전달 방식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이 엿보인다.

PMI 관계자는 “이번 조사에서 청년들이 내 집 마련 과정에서 가장 큰 장벽으로 ‘경제적 여건’을 꼽은 것은, 단순한 체감이 아니라 현실 그 자체”라며 “정부는 청약 제도나 금융 지원뿐 아니라, 소득기반 맞춤형 정책, 정보 전달 방식 개선까지 다각도의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