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추석날 3만5천 어르신에 특식 대접...“명절에도 돌봄은 계속된다”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2025-10-07 10:47:09

소고기토란탕·가자미미역국 등 명절 밥상 지원…노숙인·고립가구 돌봄도 이어져
IoT(사물인터넷) 돌봄 1만3천명, 사회적 고립 7만5천가구도 실시간 모니터링
▲추석특식 사진(서울시 제공)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서울시는 추석 명절을 맞아 도내 취약계층 어르신 3만5천여 명에게 명절 특식과 돌봄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6일 밝혔다.

시는 ‘저소득 어르신 급식지원’을 받는 3만3천 명과 ‘서울밥상’ 지원 대상 어르신 1천7백 명 등 총 3만5천 명에게 명절 밥상을 대접했다.

이번 특식은 소화·저작 능력이 약한 고령층도 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소고기토란탕, 가자미미역국, 소불고기, 송편, 약과 등으로 구성됐다.

경로식당과 도시락·밑반찬 배달 대상자에게는 잡곡밥·갈비탕·돼지갈비찜 등 영양식이 제공됐고, ‘서울밥상’ 참여 어르신에게는 가자미미역국, 사골국, 삼치, 알감자조림, 팽이버섯계란볶음 등이 전달됐다.

‘저소득 어르신 급식지원사업’은 경제적 형편이 어렵거나 신체적 제약으로 끼니를 거르는 만 60세 이상 어르신에게 주 6회 경로식당 무료급식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에게는 도시락을 주 7회 직접 배달, 자택에서 조리 가능한 어르신은 주 2회 밑반찬 배달을 통해 건강을 챙기고 있다.

여기에 급식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4월부터 ‘서울밥상’ 사업이 새롭게 운영되고 있다.

이 사업은 무료급식을 지원받지 못하는 60세 이상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도시락 주 5회(7식), 밑반찬 주 2회(2식)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민간 조리업체와 계약해 도시락을 대량 생산한 뒤 복지관 등 지역기관을 통해 배송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현재 20개 자치구에서 시행 중이며, 향후 전 자치구로 확대할 계획이다.

공공 인력이나 조리공간 확보 없이도 민간의 효율성을 살려 고품질 급식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서울시는 추석뿐 아니라 설·어버이날·석가탄신일·복날·노인의날·성탄절 등 연 7회 특식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연휴 기간에도 독거 어르신, 노숙인, 쪽방주민, 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돌봄 서비스가 끊김 없이 운영됐다.

연휴 전날인 2일,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자 4만 명을 중심으로 1차 안부 확인을 마쳤으며, 연휴 직후인 10일에는 전화 또는 방문을 통해 건강과 안전 상태를 다시 점검한다.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기초연금 수급자 중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이 주요 대상이다.

건강 이상 등 세심한 케어가 필요한 어르신 1만3천 명에게는 IoT(사물인터넷) 돌봄시스템이 가동 중이다. 응급상황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추석 연휴 기간 ‘사회적 고립 위험가구’ 7만5천여 가구를 대상으로 ‘우리동네돌봄단’이 2일과 10일 두 차례 안부를 확인했다.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가구는 3일부터 9일까지 집중 점검을 실시했다.

이와 별도로, ‘스마트안부확인서비스’가 설치된 2만8천 가구는 전기사용량·문열림·걸음수 등을 분석하는 ‘똑똑안부확인’, 주 1회 AI 전화로 상태를 확인하는 ‘AI안부확인서비스’ 등을 통해 위험신호를 상시 감지하고 있다.

서울시는 노숙인과 쪽방 거주민의 연휴 식사 공백 방지를 위해 10월 5~8일 동안 노숙인시설 32곳에서 기존 1일 2식에서 3식으로 급식 횟수를 확대했다.

응급상황에 대비해 해당 시설은 연휴 기간 24시간 운영체계를 유지했다.

장애인 돌봄 공백 방지를 위해서는 명절 기간 활동지원급여를 기존 12시간에서 최대 36시간으로 확대 지급했다.

또 복지관(종합·노인·장애인)은 송편 빚기, 민속놀이, 특식 나눔 행사 등을 진행해 지역 취약계층이 명절의 정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